반응형
기업 회계와 세무의 기초이자 핵심! "비품", "장비", "내용연수"의 개념과 적용을 정확히 이해하면 감가상각과 자산 분류가 쉬워집니다. 실무에서 혼동되는 개념을 예시와 함께 정리했습니다.
🧰 1. 비품(Furniture & Fixtures)이란?
비품은 사무실, 매장 등에서 사용하는 책상, 의자, 컴퓨터, 냉장고, 전화기, 복사기 등을 의미합니다.
- 유형고정자산 중 하나로 분류되며
- 내용연수 5년이 일반적입니다
- 100만원 이상 + 1년 이상 사용이 기준
📌 회계처리: 고정자산으로 등록하고 감가상각 적용
⚙️ 2. 장비(Equipment)의 정의와 사례
장비는 산업현장, 병원,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문적 기능을 수행하는 기계 및 장치를 말합니다.
예:
- 의료기기 (CT, 초음파기 등)
- 제조설비 (프레스기, 포장기계 등)
- 영상·보안장비 (CCTV, 서버 등)
📌 회계처리:
- 업종에 따라 내용연수 6~20년 다양
- 고정자산으로 감가상각 대상
📅 3. 내용연수란?
내용연수는 자산이 경제적 효용을 제공할 수 있는 기간을 말하며,
- 세법상 자산별 기준내용연수가 정해져 있음
- 이 기간 동안 감가상각하여 비용 처리
예: 1,000만원짜리 비품, 내용연수 5년 → 매년 200만원 감가상각
📌 정액법 vs 정률법 선택 가능
📘 4. 자산별 기준내용연수 및 범위
자산 종류기준내용연수신고 가능 범위예시
비품·공구 | 5년 | 4~6년 | 사무용 책상, 의자 |
제조 장비 | 10년 | 8~12년 | 생산설비, 기계 |
전기설비 | 16년 | 12~20년 | 냉난방, 변전장치 |
콘크리트 건물 | 20년 | 15~25년 | 오피스 건물 |
철골 구조물 | 40년 | 30~50년 | 공장, 고층건물 |
✅ 중고자산은 50~100% 범위에서 '수정내용연수' 적용 가능
🧾 5. 비품 vs 소모품 vs 사무용품 비교
항목 | 정의 | 처리 방식 |
비품 | 100만원 이상 + 1년 이상 사용 자산 | 감가상각 대상 고정자산 |
소모품비 | 1회성 청소·포장·일반 물품 | 당기비용 처리 |
사무용품비 | 볼펜, 복사용지 등 | 소모품비와 유사, 비용 처리 |
📌 기준금액(100만원)을 넘는지와 사용기간이 구분의 핵심입니다
🔩 6. 장비 vs 기계장치 vs 설비 구분
용어 | 정의 | 적용 예시 |
장비 | 업무용·생산용 고정자산 | 의료장비, 보안장비 |
기계장치 | 대형 설비류 | 컨베이어, 생산라인 |
설비 | 공정 설비·전기·가스 시스템 | 공조기기, 승강기 |
📌 일반 장비보다 규모·설치 형태가 더 크고 복잡하면 "기계장치" 또는 "설비"로 분류됨
💡 7. 유형자산과 FF&E 개념 정리
- 유형자산: 1년 이상 사용 가능한 실물 자산 전체
- FF&E: 가구(Furniture), 비품(Fixtures), 장비(Equipment)의 약자
📌 미국 등 해외 회계기준에서는 FF&E를 하나의 자산 항목으로 통칭해 사용
🔧 8. 수선비 vs 자본적 지출
구분 | 내용 | 처리 방식 |
수선비 | 자산의 기능 유지·보수 | 비용 처리 |
자본적 지출 | 자산 성능 향상, 수명 연장 | 자산화 후 감가상각 |
📌 예시
- 수선비: 냉장고 수리, 페인트칠
- 자본적 지출: 고급 CPU 교체, 건물 증축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극한의 직장 스트레스, 이렇게 극복하세요! (0) | 2025.07.12 |
---|---|
🌟 [2025 최신] 주 4.5일 근무제의 모든 것 – 워라밸, 생산성, 출산율까지 잡는 비결! (4) | 2025.07.06 |
🔥 일이 너무 많을 때, 정시에 퇴근하는 업무 효율 가이드 (3) | 2025.06.15 |
🏠 자취방 전기세 절약 꿀팁 총정리! (1인 가구를 위한 똑똑한 전기요금 줄이기 비법) (5) | 2025.06.08 |
❄️ 에어컨 전기세 줄이는 여름철 올바른 사용법 총정리 (냉방비 절약 + 효율 유지 비법) (2) | 2025.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