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 사업자등록번호로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 구별하는 법!(예시 포함)

by smartho 2025. 5. 13.
반응형

사업을 하다 보면 사업자등록번호를 볼 일이 정말 많습니다.
그런데 이 번호, 그냥 숫자 10자리로만 보이지만 사실 꽤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는 거 아시나요?

오늘은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 등록번호의 차이
실제 예시를 통해 쉽고 확실하게 구별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 사업자등록번호, 단순한 번호가 아닙니다

먼저 사업자등록번호는 이렇게 생겼습니다.

예시) 123-45-67890

이 번호는 다음과 같이 구성돼 있어요.

항목 자리 수 설명
앞 3자리 123 관할 세무서 코드 (사업자 주소에 따라 다름)
중간 2자리 45 사업자 유형 및 업종 코드
뒤 5자리 67890 사업자 고유 일련번호

그중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건 바로 중간의 2자리, 즉 업종 코드입니다.

🧩 업종 코드만 보면 사업자 유형이 딱 보인다!

자, 이제부터는 업종 코드로 개인사업자인지, 법인사업자인지 구분하는 방법을 소개할게요.

사업자 유형 예시 번호 중간 2자리 코드 의미
개인사업자 (과세) 123-12-45678 01~79 일반적인 개인사업자입니다
개인사업자 (면세) 123-90-45678 90~99 서점, 학원처럼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 업종
법인사업자 (본점) 123-81-45678 81, 86, 87, 88 주식회사, 유한회사 등의 법인 본점
법인사업자 (지점) 123-85-45678 85 법인의 지점이나 지사 등
비영리법인 123-82-45678 82 사회복지법인, 종교단체 등 비영리 법인

📌 Tip: 중간 두 자리만 보고도 "아, 이건 법인이구나!" 하고 알 수 있어요!


🔎 실제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 예시 1) 120-12-78901

12는 개인사업자 (과세 대상)
→ 작은 온라인 쇼핑몰, 미용실, 카페 등이 해당됩니다.

✔ 예시 2) 210-90-54321

90은 면세 개인사업자
→ 서적 판매점, 보육시설, 학원 등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예시 3) 130-81-23456

81은 법인 본점
→ 대부분 주식회사에서 흔히 볼 수 있어요.

✔ 예시 4) 115-82-34567

82는 비영리 법인
→ 사회복지시설, 종교재단, 시민단체 등


🧾 그럼 업종 코드는 왜 중요한 걸까요?

업종 코드는 단순히 사업자 유형만 알려주는 게 아니에요.
사업자가 신고해야 할 세금, 경비율, 공제 가능성까지도 결정됩니다.

  • 단순경비율 or 기준경비율 적용
  • 장부기장 여부
  • 부가가치세 과세/면세 여부
  • 세무조사 대상 선정 기준

잘못된 업종 코드 선택은 세무상 불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그래서 사업자등록 신청할 때 업종코드 정확히 입력하는 게 정말 중요합니다.


📌 요약 정리! (표 한 번 더)

사업자 유형 업종 코드 범위 대표적 예시
개인사업자(과세) 01 ~ 79 일반 음식점, 의류 쇼핑몰
개인사업자(면세) 90 ~ 99 도서 판매, 유치원, 학원
법인사업자(본점) 81, 86~88 주식회사 본사
법인사업자(지점) 85 프랜차이즈 지점 등
비영리법인 82 종교재단, 사회복지법인

📌 마무리하며

사업자등록번호는 단순한 숫자 10자리가 아닙니다.
중간 두 자리를 보면 그 사업자의 형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죠.

특히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는 세금이나 회계 처리 방식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그 차이를 이해하고 있어야 세무 리스크 없이 사업을 운영할 수 있어요.

내가 거래하고 있는 상대방이 개인인지 법인인지 헷갈릴 땐,
사업자등록번호 중간 두 자리만 확인해 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