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승진 : 조건과 최소연한

by smartho 2024. 3. 27.
반응형

2024년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 기준으로 아래와 같습니다.

사회복지사 승진: 조건과 최소연한

1. 사회복지사 직급 체계

사회복지사는 크게 사회복지사, 선임사회복지사, 과장, 부장, 관장의 5개 직급으로 나뉘며, 각 직급별 책임과 역할이 다릅니다.

사회복지사: 직접 서비스 제공 및 기록 작성 등 기본적인 업무를 담당
선임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업무 지도 및 감독, 프로그램 개발 등의 역할 수행
과장: 팀 운영 및 예산 관리, 정책 개발 등의 책임을 맡음
부장: 부서 운영 및 대외 협력 등의 역할 수행
관장: 시설 운영 및 경영 전반을 책임

2. 승진 조건

승진은 기본적인 근무 연한과 업무 능력 평가를 기준으로 진행됩니다.

최소 소요 연한: 각 직급별 승진을 위해 필요한 최소 근무 연한
업무 능력 평가: 업무 수행 능력, 전문성, 리더십 등을 평가

3. 최소 연한

직급 최소 소요 연한
아래 참고

4. 기타 고려 사항

기관별 규정: 각 기관마다 승진 조건 및 기준이 다를 수 있음
전문성 강화: 자격증 취득, 교육 이수 등을 통해 전문성을 높이는 것이 유리
실무 경험: 다양한 분야의 실무 경험을 쌓는 것이 도움됨
리더십: 팀워크 및 리더십 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

사회복지이용시설(사회복지직)의 직위별 승진 최소 소요 연한

1) 승진에 필요한 “최소 소요연한”은 해당 직위에서의 실 근무경력을 말하며, 소요 기간은 동일 시설 및법인 내 시설 근무경력을 우선 적용
2) 2013년 12월 31일 이전 기준(해당 직종에서의 실 근무경력)에 의해 승진한 경우 종전 자격 유지
3) 사회복지사로 만3년(4년차)의 “최소 소요연한”을 충족하는 경우, 승진 정원(인건비 예산)의 범위 내에서 선임사회복지사로 당연 승진으로 보할 수 있음.
4) 장애인 복지관 일반직의 승진 최소 소요 연한은 개별 지침 등 별도 기준을 적용
5) 생활시설 선임생활지도원은 만5년(6년차)이상인 생활지도원 중에서 법인 및 시설의 제반여건 등을 감안하여 선정

반응형

사회복지이용시설(사회복지외 직종)의 직급별 승진 최소 소요 연한

1) 승진에 필요한 “최소 소요연한”은 해당 직위에서의 실 근무경력을 말하며, 소요 기간은 동일 시설 및법인 내 시설 근무경력을 우선 적용
2) 2013년 12월 31일 이전 기준(해당 직종에서의 실 근무경력)에 의해 승진한 경우 종전 자격 유지
3) 4급으로 만3년(4년차)의 “최소 소요연한”을 충족하는 경우, 승진 정원(인건비 예산)의 범위 내에서 3급으로당연 승진으로 보할 수 있음
4) 본 <별표7>의 직급별 승진 최소 소요연한은 관리직, 사무직, 의료직, 타 직종 등에 각각 적용하며 개별지침상 별도 기준이 있는 경우 이를 적용

2024.03.24 - [#사회복지] - 사회복지시설(사회복지관) 법정 의무교육 안내(리스트 및 관련사이트)

2024.02.03 - [#사회복지] - 2024년 사회복지사 인건비 가이드라인: 핵심 내용과 주요 변화

2024.03.10 - [#사회복지] - 2024년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언제 어떻게 신청해야 할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