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회계 1급 용어정리(공정가치, 장부가액, 시가, 평가가치, 실현가치 등 용어 정리)
공정가치
"측정일에 시장참여자 사이의 정상거래에서 자산을 매도하면서 수취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면서 지급하게 될 가격이다. 즉, 공정가치는 시장에 근거한 측정치 이며 사용가치 등 기업 특유의 측정치와는 그 성격 면에서 다르다 볼 수 있다. 이러한 공정 가치를 측정하는 목적은 현행 시장 상황에서 측정일에 시장참여자 사이에 자산을 매도하거 나 부채를 이전하는 정상거래가 일어나는 경우의 가격(즉, 자산을 보유하거나 부채를 부담 하는 시장참여자의 관점에서 측정일의 유출가격)을 추정하는 것이다. [참조조문]K-IFRS 1113호 9"
공정가치
공정가치(fair value)는 자산이나 부채가 현재 시장에서 거래된다면 받을 수 있는 가격입니다. 즉, 공정가치는 자산이나 부채의 시장 가치입니다.
공정가치는 자산이나 부채의 재무제표 가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자산이나 부채의 매각 가치를 결정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습니다.
- 시장 가격: 자산이나 부채가 공개 시장에서 거래되는 경우 시장 가격을 사용하여 공정가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 거래 상대방 평가: 자산이나 부채가 공개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경우 거래 상대방 평가를 사용하여 공정가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거래 상대방 평가는 자산이나 부채의 가치에 대해 동의할 의사가 있는 거래 상대방을 식별하고 그들이 지불할 의사가 있는 가격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 할인 현금 흐름 분석: 자산이나 부채가 미래에 현금 흐름을 생성하는 경우 할인 현금 흐름 분석을 사용하여 공정가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할인 현금 흐름 분석은 자산이나 부채가 생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현금 흐름을 할인하여 현재 가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공정가치는 자산이나 부채의 시장 가치를 반영하기 때문에 재무제표에 대한 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산이나 부채의 매각 가치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장부가액
"자산·부채·자본의 각 항목에 대하여 일정한 평가기준에 따 라 회계장부상에 기록된 금액을 말한다. 따라서 당해 자산에 속하는 평가성충당금 등이 있 는 경우에는 그 금액을 공제한 순액(純額)을 말한다. 예컨대, 감가상각비를 직접법에 의하여 계상하고 있는 경우에는 감가상각비를 이미 차감한 해당 유형자산금액이 장부가액이 되고, 만일 감가상각비를 간접법에 의해서 계상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유형자산의 금액에서 감가 상각충당금계정의 금액을 공제한 것이 장부가액이 된다."
<공정가치란 정상적인 거래에서 그 거래에 정통 하고 자발적인 당사자간에 교환되는 자산의 가액을 말한다. (8) <장부가액>이란 대차대조표상 당해자산의 취득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말한다.
공정가치, 시가, 장부가치, 평가가치, 실현가치 개념정리
시가: 시가는 자산이나 부채가 현재 시장에서 거래된다면 받을 수 있는 가격입니다. 즉, 시가는 자산이나 부채의 시장 가치입니다.
장부 가치: 장부 가치는 자산이나 부채의 회계 장부 가치입니다. 즉, 장부 가치는 자산이나 부채의 원가 또는 감가상각된 원가입니다.
평가 가치: 평가 가치는 자산이나 부채의 시장 가치 또는 장부 가치 중 더 높은 값입니다.
실현 가치: 실현 가치는 자산이나 부채가 현재 판매된다면 받을 수 있는 가격입니다. 즉, 실현 가치는 자산이나 부채의 실현 가치입니다.
공정가치, 시가, 장부 가치, 평가 가치, 실현 가치는 모두 자산이나 부채의 가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공정가치는 자산이나 부채의 시장 가치를 반영하는 반면, 시가는 자산이나 부채의 현재 거래 가격을 반영합니다. 장부 가치는 자산이나 부채의 원가 또는 감가상각된 원가를 반영하는 반면, 평가 가치는 자산이나 부채의 시장 가치 또는 장부 가치 중 더 높은 값을 반영합니다. 실현 가치는 자산이나 부채가 현재 판매된다면 받을 수 있는 가격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개념의 차이점을 이해하면 자산이나 부채의 가치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연관글
2023.05.16 - [전산세무회계] - 전산회계 1급 신용카드 결제 유의사항(공급처, 거래처, 신용카드사 입력)
2023.05.13 - [전산세무회계] - 전산회계 용어(내국신용장, 구매확인서)
2023.05.13 - [전산세무회계] - 전산회계 1급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의 차이점
2023.05.12 - [전산세무회계] - 전산회계 1급 (결산정리, 미지급이자, 이자수익, 이자비용, 미수수익, 미수금..
'#자격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회계 1급 유형자산의 처분(유형자산처분이익, 유형자산처분손실) (0) | 2023.05.12 |
---|---|
전산회계 1급 주식관련 계정과목(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 주식할인발행차금) (0) | 2023.05.12 |
전산회계 1급 부가가치세 과세기간(예정신고, 확정신고) (0) | 2023.05.07 |
전산회계 1급 고정비와 변동비(단위당 원가, 총원가, 조업도) (0) | 2023.05.01 |
전산회계 1급 재고자산의 분류 문제(상품, 제품, 재공품, 원재료, 저장품) (0) | 2023.05.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