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교육의 참여동기와 장애요인 입니다. 참고하시고 다른의견 댓글 바랍니다. ^^
---------------
학습 동기는 동기를 유발시킨 원인 혹은 힘이 개인의 내부에 있느냐 외부에 있느냐로 구분하여 크게 과제 자체에 대한 흥미나 즐거움 등 만족을 얻기 위해 행동을 하려는 내재적 동기와 행동을 하는 목적이 외적 보상에 관심을 가져 학습하게끔 하는 외재적 동기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성인학습 참여 동기는 학자 마다 여러 가지 다른 표현으로 이야기 하고 있지만 큰 의미에서는 훌(Houle)이 제시한 목표 지향적 학습자, 활동 지향적 학습자, 학습 지향적 학습자 이렇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 목표 지향적 학습자: 생활 가운데 다양한 필요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학습함 (예)취업을 하기 위한 직업교육
- 활동 지향적 학습자: 학습활동으로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가짐
(예) CEO 경영 프로그램
- 학습 지향적 학습자: 배움의 즐거움과 같은 학습 자체가 갖는 본질적인
가치에 주목함 (예) 노인의 평생프로그램 참여
또한 Morstain과 Smart(1976)은 외부적 기대, 전문성 향상, 사회적 관계, 도피, 자극, 사회적 복지, 인지적 흥미를 참여 동기로 보았으며 Johnston과 Rivera (1965)는 취업 준비, 현재의 직무능력 개발, 지식과 교양 함양, 여가 시간 활용, 가사능력 계발, 일상생활 기술 습득 및 친교, 일상적 삶의 변화, 기타 개인적 요구를 성인 학습자의 참여 동기라고 보았다.
이처럼 학습자가 교육에 참여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로 나타나며 학습자가 교육 참여를 방해하는 요인을 보면 다음과 같다.
대표적 평생교육 참여 장애요인은 시간부족, 비용이 있으며 크로스(Cross)는 크게 다음가 같이 3가지 요인으로 보았다.
- 상황적 요인: 사회적 지위와 역할에서 오는 부담 (예) 직장에서의 역할,
엄마로서의 역할
- 개인 특성 요인: 학습자의 신념과 태도, 자신의 신체적, 심리적 조건에 대한
부정적 인식 (예) 노인의 낮은 교육 참여
- 기관 및 제도적 요인: 기관의 조건이나 프로그램 및 제도가 학습자의 요구와
불일치 (예) 기관의 낮은 접근성, 등록 절차의 복잡성
여기에 Darkenwald & Merriam은 정보 요인을 추가하였다.
또한 Darkenwald과 Valentine(1985)는 참여 장애 척도로서 자녀 양육, 건강, 직업문제 등과 같은 학습자 자신의 개인적 문제, 자신의 능력과 교육 참여 성공에 대한 확신의 부족, 교육비에 대한 부담, 교육 자체에 대한 전반적 무관심, 관심 주제를 다루는 프로그램의 부족, 시간적 제약으로 말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학습참여 동기와 장애요인을 분석하여 다양한 학습 대상자에 따라 학습시간 등 여러 가지 요인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다수의 참여기회를 확대하여야 하겠다. 나 또한 직장생활을 하며 여러 가지 이직을 위한 자격증 취득이나 어학 학습을 시도해 본적이 있다. 급변하는 사회와 더욱더 빨라지는 기술발전에 맞추어 교육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막상 학습을 하면 시간과 비용적인 문제가 많이 나타난다. 직장생활을 하면 시간이 부족하게 되며 시간이 부족하다고 직장을 그만두고 학습을 하자니 비용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위에서 언급한 내용대로 적절한 학습참여 동기를 스스로 인식하고 이와 더불어 학습 장애요인을 현실적으로 분석해 나에게 맞는 학습 계획을 세워야 해야겠다.
---------------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생교육의 이념과 실천사이의 괴리 (0) | 2018.11.11 |
---|---|
노숙인에 대한 기능론적 시각과 갈등론적 시각 (0) | 2018.11.09 |
사회복지사 2급 과목 알아보기 (0) | 2018.11.06 |
사회복지 현장실습 알아보기 (0) | 2018.11.05 |
아동학습자와 비교한 성인학습자의 특징 (0) | 2018.11.05 |
댓글